주일설교PDF
성령강림 후 제13주 두 길로의 초대
Lectio Divina
■ 내적침묵기도 | Centering Prayer
■ 읽기 | Lectio
구약 | 잠 9:1-6
1 지혜가 그의 집을 짓고 일곱 기둥을 다듬고 2 짐승을 잡으며 포도주를 혼합하여 상을 갖추고 3 자기의 여종을 보내어 성중 높은 곳에서 불러 이르기를 4 어리석은 자는 이리로 돌이키라 또 지혜 없는 자에게 이르기를 5 너는 와서 내 식물을 먹으며 내 혼합한 포도주를 마시고 6 어리석음을 버리고 생명을 얻으라 명철의 길을 행하라 하느니라
응송 | 시 111
여호와께서 자기를 경외하는 자들에게 양식을 주시며 그의 언약을 영원히 기억하시리로다
서신 | 엡 5:15-21
15 그런즉 너희가 어떻게 행할지를 자세히 주의하여 지혜 없는 자 같 이 하지 말고 오직 지혜 있는 자 같이 하여 16 세월을 아끼라 때가 악하니라 17 그러므로 어리석은 자가 되지 말고 오직 주의 뜻이 무엇인가 이해하라 18 술 취하지 말라 이는 방탕한 것이니 오직 성령으로 충만함을 받으라 19 시와 찬송과 신령한 노래들로 서로 화답하며 너희의 마음으로 주께 노래하며 찬송하며 20 범사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항상 아버지 하나님께 감사하며 21 그리스도를 경외함으로 피차 복종하라
복음 | 요 6:51-58
51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떡이니 사람이 이 떡을 먹으면 영생 하리라 내가 줄 떡은 곧 세상의 생명을 위한 내 살이니라 하시니라 52 그러므로 유대인들이 서로 다투어 이르되 이 사람이 어찌 능히 자기 살을 우리에게 주어 먹게 하겠느냐 53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인자의 살을 먹지 아니하고 인자의 피를 마시지 아니하면 너희 속에 생명이 없느니라 54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영생을 가졌고 마지막 날에 내가 그를 다시 살리리니 55 내 살은 참된 양식이요 내 피는 참된 음료로다 56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내 안에 거하고 나도 그의 안에 거하나니 57 살아 계신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시매 내가 아버지로 말미암아 사는 것 같이 나를 먹는 그 사람도 나로 말미암아 살리라 58 이것은 하늘에서 내려온 떡이니 조상들이 먹고도 죽은 그것과 같지 아니하여 이 떡을 먹는 자는 영원히 살리라
■ 묵상 | meditatio
① 잠 9:1-6을 묵상하십시오. 지혜가 어리석은 자와 지혜 없는 자를 잔칫상 으로 초대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② 요 6:54, 56을 묵상하십시오.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에게 주 어지는 존재의 새 차원은 무엇입니까?
③ 엡 5:15-16을 묵상하십시오. 지혜 없는 자와 지혜 있는 자의 다른 점은 세월을 대하는 태도에서 각각 어떻게 나타납니까?
■ 기 도 | Oratio | 5-10분
■ 묵상 나
두 길로의 초대
죄의 쓰라린 산물인 영적 죽음 혹은 영혼의 죽음은 사람이 하나님을 거역한 이후에 즉시 발생했습니다. 성 그레고리우스 팔라마스는, 불순종이 행해진 순간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진 아담의 영혼은 사망했다"고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창세기를 계속 읽어보면, 아담의 육체는 죽지 않고 여전히 살아있었으며, 이후로도 그는 셋을 낳은 후 팔백 년을 더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고, 구백삼십 세까지 살았습니다(창 5:5).우리는 이러한 사실을 통해 죄가 몰고 온 것은 '영적(靈的) 죽음'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스스로의 뜻에 따라 하나님으로부터 벗어나는 자는 그 순간부터 하나님과 분리되는 것이고, 하나님과의 그 '분리'를, 그리스도교 전통은 죽음으로 여겨왔습니다. 빛에서 멀어지면 어둠에 묻히듯이, 생명이신 하나님께로부터 멀어지면 죽음에 묻히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겠습니다. 따라서 참 생명이신 하나님과의 단절은 곧 '영적 죽음' 혹은 '영혼의 죽음'인 것입니다. 이집트의 성 마카리오스는 '진정한 죽음은 내면에 있어서, 인간은 내면에서 죽어간다'고 가르쳤는데, 인간이 악과 거짓의 원조인 사탄에게 속아 하나님의 말씀을 믿지 않게 된 그 순간부터 '어둠의 세상 주관자들과 악의 영들'(엡 6:12)이 인간의 내면과 영혼을 지배하기 시작했습니다. 어둠 속에서 사탄의 포로가 된 인간은 온갖 죄의 지배를 받으며 살아감으로써 비록 육체의 죽음을 맞이하지는 않았지만, 실상 죽은 자나 다름없는 삶을 살았습니다. 이 영적 죽음의 상태가 얼마나 절망스러운 것인지, 사도 바울은 골로새서 1:13절에서 "아버지께서는 우리를 흑암의 권세에서 건져내시어 당신의 사랑하시는 아들의 나라로 옮겨주셨습니다."라고 말씀합니다. 사도 바울은 '흑암'이라고 단순히 말하지 않고 '흑암의 권세'라고 말함으로써, 어둠의 세계를 장악한 어떤 권세가 하나님과 분리된 사람들의 내면과 영혼을 사로잡고 있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영적 죽음으로 인해 영혼이 어둠에 던져졌다는 사실만으로도 두려운데, 어둠의 어떤 '권세'가 우리를 지배하기까지 한다면, 그것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두렵고 참혹한 일입니다. 그래서인지 마 8:22절과 눅 9:60절에서 예수님은 '영적으로 죽은 자'를 그냥 '죽은 자'라고 하십니다. 그만큼 하나님이신 아버지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황은 극도의 소외의 상태 즉 죽음의 절망적 상태인 것입니다.
오늘 구약의 말씀이 포함되어 있는 잠언 9장은 독자들에게 두 종류의 초대를 보여줍니다, 여성으로 의인화 된 지혜가 집을 짓고 상을 차린 후 자기의 여종을 보내어 사람들을 불러 모으는 초대와(잠 9:1-6), 속이 비어 어리석은 여인이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수선을 떨며 마을 언덕 위에 앉아서 제 갈 길 바로 걷는 사람을 불러 모으는 초대입니다(잠 9:13-17).
지혜가 그(녀)의 집을 짓고 일곱 기둥을 다듬고 짐승을 잡으며 포도주를 혼합하여 상을 갖추고 자기의 여종을 보내어 성중 높은 곳에서 불러 이르기를 어리석은 자는 이리로 돌이키라 또 지혜 없는 자에게 이르기를 너는 와서 내 식물을 먹으며 내 혼합한 포도주를 마시고 어리석음을 버리고 생명을 얻으라 명철의 길을 행하라 하느니라 | 잠 9:1-6
어리석은 여인은 속이 비어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수선을 떤다. 그는 제 집 문 앞이나 마을 언덕 위에 앉아 제 갈 길 바로 걷는 사람을 불러 말한다. "이 숙맥아, 이리 오렴." 또 속없는 사람에겐 이렇게 말한다. "훔친 물이 더 달고 몰래 먹는 떡이 더 맛있다." | 잠 9:13-18 공동번역
잠언 9장에서 두 여인의 모습은 서로 대조적인 듯하면서도 닮은꼴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여성 지혜(하크모트)'는 집을 짓고 일곱 기둥을 다듬는 '집을 세우는 자'(잠 9:1)로 그려지고 있지만, '어리석은 여인(에셰트 크실롯 תוּליסכ תשׁא)'은 속이 비었고,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수선을 떱니다(잠 9:13). 그렇지만 두 여인의 닮은꼴은 똑같이 높은 곳에 올라가 사람들을 부르는데, 부름의 대상은 '어리석은 자(페티)'입니다(잠 9:4, 16). 두 여인 모두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먹고 마시는 식사 은유를 사용합니다(잠 9:5, 17). 그러나 두 메시지의 결과는 전혀 다릅니다. 하나는 생명과 명철에의 초대이지만(잠 9:6), 하나는 죽음과 지옥 골짜기에의 초대입니다(잠 9:18). 이때 초대받은 사람들에게 중요한 것이 바로 분별력입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분별할 것을 당부합니다. 그 이유는 거짓 선지자가 세상에 나왔고(요일 4:1), 사탄도 자신을 광명의 천사로 가장하기 때문입니다(고후 11:14).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초대의 형식이 유사한 만큼 '참과 거짓의 분별'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차이가 드러납니다. 여성 지혜의 초대는 직접적인 초대이고, 자신이 직접 만든 음식을 먹으라고 합니다. 하지만 어리석은 여인의 초대는 간적적인 초대이고, 그녀가 주는 음식은 훔친 물과 몰래 먹는 떡입니다. 그녀는 불의한 음식이 주는 달콤함을 강조하며 그것에 빠져들도록 속없는 사람들을 유혹합니다. 불로소득과 은밀성의 쾌감을 무기로 악한 일에 자신과 하나가 되기를 유도합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마지막 순간에 그 초대의 실상이 드러납니다. "그런 무리들은 멋모르고 들어섰다가 죽은 혼백을 보고 저승 골짜기에 들어섰음을 알게 되리라."(잠 9:18 공동번역).하지만 이 지경에 들어섰을 때는, 나는 몰랐다고 말하기에는 이미 늦었음을 지혜자는 보여줍니다. 잠 9:7-9절에서 지혜자는 말씀합니다. "거만한 자를 꾸짖으면 욕을 먹고, 못된 녀석을 책망하면 해를 입게 마련이다. 거만한 자는 책망하지 마라. 오히려 미움을 산다. 지혜로운 사람은 책망하여라. 그는 책망을 고마워한다. 지혜로운 사람은 책망을 들을수록 더욱 슬기로워지고, 의로운 사람은 배울수록 학식이 더해지리라." 사람이 어느 한 순간 단번에 지혜로워지고, 어느 한 순간 어리석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살아가는 동안 어리석음에서 벗어날 기회가 있었고, 어리석음에서 벗어나도록 꾸짖음과 책망이 있었지만 책망을 미워하고 거부한 사람은 어리석음 속에서 죽음의 길로 가고, 책망을 고마워하고 경청한 사람은 배움을 통해 더욱 슬기로워지고 생명의 길을 가는 것입니다. 히폴리투스나 오리게네스 같은 교부들은 여성 지혜가 "짐승을 잡으며 포도주를 혼합하여 상을 갖추고"(잠 9:2)라는 말씀에 근거해서 그녀가 벌인 잔치를 성만찬의 예표로써 설명합니다. 주님께서 우리를 성찬의 자리에 초대하시는 이유 역시 영적 지혜와 생명을 더 풍성히 얻게 하시려는 것입니다. 오늘 복음서의 말씀 보십시오.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떡이니 사람이 이 떡을 먹으면 영생하리라 | 요 6:51a
하나님께서는 당신을 믿고 세례 받음으로써 신앙의 길로 갓 들어선 그리스도인들을 위해 그들의 영이 필요로 하는 음식을 만들어주셨습니다. 주님은 그 음식이 바로 당신이라고 말씀하시며 사람이 이 음식을 먹으면 영생한다고 하십니다. 여기에서 '영생' 즉 '영원히 산다는 것'은 시간적, 수평적으로 오래 산다는 의미가 아니라, 수직적, 의미적으로 깊이 있게 산다는 뜻입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이 말씀이 있게 된 배경을 잘 알고 있습니다. 오병이어의 기적을 체험한 사람들이 배를 타고 가버나움까지 주님을 따라왔을 때, 예수님께서 "너희가 나를 찾는 것은 표적을 본 까닭이 아니요 떡을 먹고 배부른 까닭이로다 썩을 양식을 위하여 일하지 말고 영생하도록 있는 양식을 위하여 하라"(요 6:26, 27)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예수님의 말씀을 알아들었는지 못 알아들었는지 자신의 조상들이 광야에서 만나를 먹었듯이, 자신들에게도 떡을 주실 것(요 6:31)을 요청했습니다. 그 요청에 대해 예수님께서는 "하늘에서 떡을 내려 너희를 먹인 사람은 모세가 아니다. 하늘에서 참 떡을 내려주시는 분은 내 아버지시다"라시며 "하나님께서 주시는 떡은 하늘에서 내려와 세상에 생명을 준다"(요 6:32, 33) 라고 하시고, 마침내 오늘 복음서에 이르러서는, 내가 바로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떡"이라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사람이 짐승과 다른 것은, 단지 음식에 대해서만 '육체적, 생물학적'으로 굶주려 있는 것이 아니라 '의미와 완성'에 대해서도 굶주려 있다는 사실에 있습니다. 오늘 저와 여러분이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것이 바로 이 지점입니다, 사람은 떡을 먹고 오래 사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생명의 떡이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참 생명으로 사는 것에 목적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이어지는 말씀에서 주님은 이렇게 선언하십니다.내가 줄 떡은 곧 나의 살이다. 세상은 그것으로 생명을 얻게 될 것이다 | 요 6:51b 공동번역
만약 우리가 그 자리에 있었다면, 과연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요? 주님의 말씀에 감동을 받고 돌아왔을까요? 아니면 떡은 주시지 않고 비현실적인 말씀만 하시는 예수님을 향해 분통을 터뜨리고 있었을까요? 오늘 말씀에서 요한은, 예수님의 말씀을 들은 유대인들이 서로 다투었다 즉 논쟁을 벌였다고 증언합니다. 그들이 벌인 논쟁의 내용이 무엇입니까? "이 사람이 어떻게 자기 살을 우리에게 먹으라고 내어줄 수 있단 말인가?" 하는 것이었습니다(요 6:52). 그렇습니다. 당시의 사람들에게 예수님의 이 말씀은 당연히 혼란스러운 말씀이 아닐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 혼란이 채 가시기도 전에 주님은 그들에게 더 기가 막히는 말씀을 하십니다.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인자의 살을 먹지 아니하고 인자의 피를 마시지 아니하면 너희 속에 생명이 없느니라 | 요 6:53
주님은 이제 '떡을 먹는다'는 표현을 넘어 '살을 먹는다'는 표현과 '피를 마신다'는 표현까지 사용하십니다. 우리는 이 차이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주님께서 첫 번째 말씀하신 '떡을 먹는다'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주님의 희생을 받아들이고 주님과의 일치를 이루는 것에 필요한 예전적인 태도를 말씀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주님의 두 번째 말씀, 즉 '살을 먹고 피를 마신다'는 표현은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몸 뿐 아니라 피까지 주시는 복음의 은총의 정점(頂點)을 말씀하는 것과 더불어, 당신의 그 결연한 희생제사에 우리 모두를 참여시키시려는 의지를 나타내신 것입니다. 어거스틴은 주님의 희생제사에 대해 분명한 고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주님의 희생제사는 단지 표적만은 아니다. 떡과 포도주는 생명을 전달해 주는 것이다. 먹고 마시는 것은 생명을 얻는 영적 활동이며 생명과 선물은 영적 생명과 선물이다.
이 영적 생명에 대해 좀 더 풍성하게 이해하려면 레위기와 신명기의 관점을 성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레 17:11에서는 "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고 선언하고, 레 17:14에서는 "모든 생물은 그 피가 생명과 일체라" 했고, 신 12:23에서는 "피는 생명"이라고 단언합니다. 이 레위기와 신명기의 말씀을 인용해서 "인자의 살을 먹지 아니하고 인자의 피를 마시지 아니하면 너희 속에 생명이 없느니라"(요 6:53) 하신 말씀을 묵상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우리의 몸과 영혼 전체가 주님의 피를 통해 주님의 생명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 의미를 염두에 두고 다음 말씀을 보십시오.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사람은 영원한 생명을 누릴 것이며 내가 마지막 날에 그를 살릴 것이다. | 요 6:54 공동번역
여기에서 '살'은 영혼이 거하는 처소로서의 '몸'을 뜻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내 살을 먹으라'는 것은 '내 영혼을 소유하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일회성이 아니라 지속적인 믿음의 행동이어야 한다는 것이 현재 분사로서의 '먹고', '마시고'라는 단어가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입니다. 이 말씀에 순종하는 사람에게 주님께서는 "그가 이미 영생을 가졌다"고 말씀하시고, "마지막 날에 그를 살리겠다"고 약속하십니다. 실제로 사도 바울은 고린도전서 11장의 성찬 제정사에서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그가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고전 11:26) 라고 말씀합니다. 여기에서 '먹고' '마신다'는 표현은 고스란히 그리스도의 실재성으로 연결됩니다. 즉 우리는 그 분을 받아먹음으로서 그분과의 친밀한 관계를 맺게 되며, 그럼으로써 예수님 안에 있는 생명이 우리 안으로 들어오게 되는 것입니다. 예수님 안에 있는 생명이 내 안에 들어오면, 그 생명은 우리의 죽음을 이기고 우리 안에 계속됩니다. 죽음이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에 의해서 통쾌하게 극복되어버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주님께서 새 몸을 입고 부활하심으로 당신의 희생당하신 몸을 완전히 되찾으셨듯이, 우리가 믿음으로 주님의 살과 피를 내 안에 모실 때, 우리는 주님과의 일치를 통해 부활의 영광에까지 참여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 사실을 '성(聖) 이레네우스(St. Irenaeus)'는 자신의 책 '이단 논박(Adversus Haereses)'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땅에 떨어진 포도나무의 뿌리가 때가 되면 열매를 맺듯이 곡식의 낟알이 땅에 떨어져 싹이 트고 이 세상 만물을 장악하고 계신 하나님의 입김으로 번식하듯이, 그리하여 신의 예지에 의해 인간을 위한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들여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성찬의 제물이 되듯이, 우리의 몸은 성찬을 통해 양육된 후 지상에 떨어져 썩어서 하나님의 말씀이 성부의 영광을 위해 부활시켜주시는 날 다시 살아나게 될 것이다.
가슴 벅찬 이야기입니다. 마지막 날 영광스럽게 부활해서 우리의 육체까지도 하나님의 영광에 들어가는 것은 우리가 우리 삶의 노정에 따라 실현시켜야 할 생명의 경이로움이 아니겠습니까? 그런 면에서 주님 말씀은 진리입니다.
내 살은 참된 양식이요 내 피는 참된 음료로다 | 요 6:55
왜 예수님의 살이 참된 양식입니까? 이 살을 통해 인간을 구원해서 하나님과 긴밀한 영적 관계를 갖게 하고, 마침내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에 이르게 하기 때문입니다. 왜 예수님의 피가 참된 음료입니까? 이 피를 흘림으로 인간의 죄를 씻어서 하나님의 사랑받는 자녀가 되게 하고 마침내 예수 그리스도의 형제로서 부활의 영광에 이르게 하기 때문입니다. 주님은 계속 말씀하십니다.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사람은 내 안에서 살고 나도 그 안에서 산다. 살아 계신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셨고 내가 아버지의 힘으로 사는 것과 같이 나를 먹는 사람도 나의 힘으로 살 것이다. | 요 6:56-57 공동번역
주님은 당신의 살과 피를 우리에게 주심으로 마침내 당신과 우리가 일치를 이루게 하셨고, 신성과 인성이 오묘하게 결합된 당신 자신을 우리 안에 현실적으로 존재하게 하셨습니다. 그럼으로써 비천한 존재인 우리가 그리스도의 영광 가운데 살게 되었고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는 사도의 말씀이 우리 안에 실현되었습니다. 오늘 저와 여러분에게 중요한 것은 주님의 이 구원 방법을 신뢰하고, 적극적으로 성찬에 참여함으로서 주님의 구원방법에 순종하는 것입니다. 서신서에서 사도 바울은 말씀합니다.그런즉 너희가 어떻게 행할지를 자세히 주의하여 지혜 없는 자 같이 하지 말고 오직 지혜 있는 자 같이 하여 세월을 아끼라 때가 악하니라 | 엡 5:15, 16
지혜 없는 자 같이 살지 말고 지혜 있는 자 같이 살기 위해 사도 바울은 '자세히 주의하라'고 당부합니다. '자세히 주의하여'의 원문인 '아크리보스(ὰχριβως)'는 '정확하게, 신중하게'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어떻게 행동할지를 신중하게 생각하고 분별해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며 살아가는 것이 세월을 아껴 사는 지혜라는 것입니다. 이어지는 말씀은 더 직설적입니다.그러므로 어리석은 자가 되지 말고 오직 주의 뜻이 무엇인가 이해하라 | 엡 5:17
우리 앞에는 두 길이 있습니다. 생명에의 길과 죽음에의 길, 어리석은 길과 슬기로운 길, 오늘 우리는 이 두 길로의 초대를 받고 있습니다. 부디 지혜와 생명의 길로 걸으시기를 축복합니다.■ 관상 | Contemplatio
관상은 '하나님을 보는 기도'입니다. 마음이 청결한 자는 하나님을 볼 것입니다.
■ 실천 | Exercitatio
① 어리석은 사람들의 유혹에 빠져 죽음에의 길을 걷고 있지 않은가?
② 주님의 지혜의 목소리를 청종하며 영적 생명의 길을 걷고 있는가?
번호 | 다운로드 | 제목 | Language | 작성일 |
436 | 다운로드 |
부활절 제4주 내 양은 내 음성을 들으며 나는 그들을 알며
|
KOR | 2025.05.10 |
435 | 다운로드 |
부활절 제3주 성사적 사랑으로의 부르심
|
KOR | 2025.05.03 |
434 | 다운로드 |
부활절 제2주 부활신앙은 우리를 정의롭게 한다
|
KOR | 2025.04.26 |
433 | 다운로드 |
부활주일 그들이 예수의 말씀을 기억하고
|
KOR | 2025.04.19 |
432 | 다운로드 |
사순절 마지막 주(종려주일) 경청이 순종을 낳는다
|
KOR | 2025.04.12 |
431 | 다운로드 |
사순절 제5주 유다의 욕망과 마리아의 헌신
|
KOR | 2025.04.05 |
430 | 다운로드 |
사순절 제4주 일어나서 아버지께로 돌아 가니라
|
KOR | 2025.04.01 |
429 | 다운로드 |
사순절 제3주 내 길은 너희의 길보다 높으며
|
KOR | 2025.03.22 |
428 | 다운로드 |
사순절 제1주 유혹이 나을 찾아올 때
|
KOR | 2025.03.08 |
427 | 다운로드 |
주현 후 마지막 주 하나님의 빛으로 이루는 파스카
|
KOR | 2025.03.01 |
426 | 다운로드 |
주현 후 제7주 상한 감정에 직면할 때
|
KOR | 2025.02.22 |
425 | 다운로드 |
주현 후 제6주 마음을 가꾸는 사람
|
KOR | 2025.02.15 |